마포구청 공지사항인데 언젠가부터 카카오톡으로 알림 받고 있더라.(왜일까요ㅋ)
습하고 더운 요즘 여름철에 더 관심 갖게 되는 음식물쓰레기인데
음식물쓰레기통(문전수거통이라고 부르네요)을 동주민센터에서 배부한다는 소식이라 공유해볼까 한다.
우선 올바른 음식물 쓰레기 배출방법을 알아보자.
- 사료화가 가능한 것은 음식물쓰레기로 배출
- 사료화가 불가능한 것은 일반쓰레기로 배출
- 물기를 꽉 쫘서 최대한 수분을 제거한 후 배출
- 일회용 비닐봉지, 나무젓가락, 이쑤시개 등 음식물쓰레기 외의 이물질은 제거해 배출
- 길이가 긴 채소류와 덩어리가 큰 수박 등은 잘게 썰어 부피를 줄여 배출
- 배출 요일 및 배출 시간 준수
- 쓰레기 종량제(규격)
- 화, 목, 일(일몰 후) 내 집 앞 배출 - 음식물 쓰레기(규격)
- 수시 거점 수거용기 내 배출
대부분 알고 있지만 간혹 섞일 수도 있으니 다시 음식물 쓰레기가 아닌 것부터 살펴보면.
- 대파 뿌리
- 쪽파 뿌리
- 마늘 껍질
- 옥수수 껍질
- 호두 껍데기
- 파인애플 껍데기
- 딱딱한 껍데기
- 소 뼈
- 돼지 뼈
- 닭 뼈
- 생선 뼈
- 딱딱한 뼈
- 복숭아 씨
- 감 씨
- 핵과류 씨
- 조개껍데기
- 게 껍데기
- 굴 껍데기
- 패류 껍데기
- 복어내장
- 독성 있는 음식물
- 달걀 껍데기
- 알 껍데기
- 차 찌꺼기
- 1회용 티백
- 한약 찌꺼기
전에 살던 빌라에선 가구당 하나씩 음식물쓰레기통(문전수거통)을 갖고 있었다.
음식물쓰레기통(문전수거통) 뚜껑에 번지수를 기재해서 사용.
지금 살고 있는 빌라에선 전체 건물에서 큰 사이즈 한 개를 공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어떻게 구분되는지는 나도 잘 모르겠지만 전자가 더 나을 듯..
음식물쓰레기통 사용법이랄 것도 없이 음식물쓰레기봉투에 담아서 배출일에 맞춰 집건물 외부에 내놓으면 되고
사용하고 난 후 음식물쓰레기통 세척은 락스 희석한 물로 바로 헹궈주니 냄새도 심하지 않았다.
마포구청 동주민센터에서 문전수거통 받아 가세요~~
기간 : 2024.6 ~ 2024.12.
대상 : 관내 단독/다가구/다세대 주택 거주 주민 및 자영업자 (공동주택 제외)
장소 : 마포구 관할 동주민센터
시간 : 평일 09:00 ~ 18:00
요건 : 신분증 지참, 배부신청서 작성 (자영업자는 사업자등록증 추가 지참)
문의 : 02-3153-8384 마포구청 자원순환과 / 관할 동 주민센터
저희 동네 가까운 동주민센터 두 곳이고 마포구에 있는 동주민센터에서 모두 가능
서강동 주민센터 02-3153-6710 서울 마포구 독막로 165
광흥창역 2번 출구에서 45m / 지하철 6호선 광흥창역 5번 출구 지호한방삼계탕 2층에 위치.
서교동주민센터 02-3153-6740 서울 마포구 동교로 15길 7 서교동주민자치회
망원역 1번 출구에서 538m. 골목입구에 마을버스 8번, 9번, 15번이 다녀요.
현재 분리배출에 대해서 안내하고 있는 동주민센터에서 배부하고 있는 음식물류 폐기물 문전수거통 소식입니다.
음식물쓰레기 분리배출도 중요하겠지만 집에서나 사업장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줄이는 방법을 고려해 보는 게 식비비용도 절약하면서 지구 지키기에 일조하는 방편이기도 하겠어요.
서울시에서 배포한 음식물쓰레기 줄이는 팜플렛도 참고해 보세요.
나는 음식물처리기 구입을 몇 년째 고민 중이다..
미생물처리형이 좋을지 분쇄형이 좋을지..
미생물처리형은 중간중간 추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냄새가 날 수도 있다고 하고
분쇄형은 냄새는 좀 덜나긴 하나 처리중간에 추가하면 세팅이 다시 된다고 하고
고민해도 결론이 나질 않고
사실 요즘 좀 더 마음 가는 쪽이 있긴 하다.
콤팩트한 디자인으로 내놔도 부끄럽지 않고 ㅋ
무엇보다 처리소음이 작고(거의 안 들린다는 정도라는데 궁금하다)
용량도 2 L면 충분하고 분쇄기능도 훌륭하다고들 하는데 품절이다.ㅎ
입고돼도 구매할지 말지는 아직 미정이지만 품절이라 안타깝다는 ㅋ
각 지자체에서 가정용 음식물처리기 구매 시 각 가정에 구매 금액의 일부를 지원해 주는 '음식물처리기 지원금 보조금'
지원금액은 자체별로 상이 하지만 대략 30만 원~ 최대 70만 원 사이로 지원,
음식물처리기 구매 금액 대비 30 ~50% 정도 지원.
지원 대상은 세대별로 1대이며 지원 기간은 보통 1년.
서울시 – 서초구, 용산구, 관악구, 광진구, 구로구, 강동구, 송파구
경기도 – 수원시, 의정부시, 남양주시, 안성시, 광주시, 화성시, 하남시, 성남시
인천광역시 – 중구, 남동구
경상북도- 안동시, 문경시, 경주시, 울진군, 영천시, 울릉군
경상남도- 거창군, 통영상, 양산시, 아산시, 진주시, 남해군, 김해시, 사천시
전락북도 – 순창군
전라남도 – 나주시
충청북도 – 보은군
충청남도- 태안군, 청양군, 서산시, 계룡시
부산광역시- 동래구, 북구, 서구
대구광역시- 중구, 동구
울산광역시 – 남구
강원도 – 양양군, 양구군
정부지원금 신청도 가능하다고 하길래 그게 뭔지 알아봤다.
비용 절약되면 고마운 거 같은데..
흠.. 난 해당 지역이 아니었네.. 아쉽다..
'마음대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미 울음 소리를 듣고.. (0) | 2024.07.24 |
---|---|
잠실 디저트 카페 맛집 [마네쥬] 에그타르트 까늘레 마들렌 에끌레어 미니케이크 선물 포장 추천 (8) | 2024.07.23 |
알뜰폰 통신사 종류, 고객센터, 요금제 비교 사이트 (0) | 2024.07.15 |
알뜰폰 요금제 추천 eSIM 번호이동 (0) | 2024.07.15 |
K패스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카드 발급 방법 및 체크카드 (0) | 2024.07.12 |